💡
VCGM에서 개발한 KATRT를 이용하여 차량 중량과 적재 위치를 측정한 후 차량 매개변수인 차량 중량, 구동축 및 지붕 높이와 연계한 무게 중심 높이 측정하기
차량무게 중심 측정 이론
- 차량 무게중심 높이 측정
펜둘럼(pendulum)과 같이 흔들 수 있는 장치 사용
- 차량 무게 중심 높이 측정 순서
- 차량을 탑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답판(아래 받침대일듯) 자체의 무게 중심 구하기
- 답판 끝단에 적당한 중량(Wa)를 가하여 답판을 기울인 후 회전중심에 대한 모멘트 평형을 취하여 장치의 무게중심(
) 구하기
- 상기 식을 회전 중심(펜둘럼 베어링 중심 위치)에서 펜드럼 무게중심까지의 거리 (
)에 대해 식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
- 답판 끝단에 적당한 중량(Wa)를 가하여 답판을 기울인 후 회전중심에 대한 모멘트 평형을 취하여 장치의 무게중심(
- 방금 측정한 차량중심의 종방향 위치(y)가 베어링(회전중심점)과 수직선에 일치하도록 차량을 고정시킴
- 차량을 장치에 적재하고 Fig 5(위에 그림)와 같이 답판에 적당한 무게(
, 30kg 및 60kg)을 가하여 답판을 기울이고 회전중심점에 대해 모멘트 평형을 취함- 상기 식을
(베어링과 차량중심위치 사이의 거리)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 식과 같음.
- 위 그림처럼
이므로 그에 맞게 식을 정리해줌 : 차량 무게 중심 높이 (mm)
: 회전 중심점에서 답판 바닥까지의 거리 (mm)
: 회전중심에서 펜드럼 무게 중심까지의 거리 (mm)
: 회전중심에서 추자 중량 작용점까지의 수평 거리 (mm)
: 측정시 발생하는 답판에 대한 차량의 길이 방향 이동변위 (mm)
: 답판의 기울기 각도(°)
: 답판 및 펜둘럼의 중량 (kg)
: 차량중량 (kg)
: 추가중량 (kg)
- 상기 식을
- 차량을 탑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답판(아래 받침대일듯) 자체의 무게 중심 구하기
- 차량 무게 중심 높이 측정 순서
결론
- 대부분 차량 지붕 높이의 약 37% 높이에 차량 무게 중심이 있음.
- x방향 무게중심 : 윤거의 1/2에서 -3%지점 (중심으로부터 좌측)
- y방향 무게중심 : 축거의 43%지점
- 중량이 무거울수록 차량 무게 중심 높이가 상승됨.
- 동일 차종일때 2륜구동 차량에 비해 4륜구동 무게 중심 높이가 낮음
- 동일차종 일 때 가솔린 엔진보다 디젤엔진이 무게중심이 낮음
- 차량 객실내보다 차량 루프에 화물적재 시 약 4배 이상 무게중심 높이를 증가시킴
⇒ 위험성 증가!

맨 마지막에 표 형태로 무게 중심이 계산되어 있음…
감사합니다. ㅠㅠㅠㅠㅠㅠㅠㅠ
약 39종의 차량이 있음…
ref : 이명수, and 김상섭. "차량무게중심의 측정 및 추정에 관한 연구."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18.5 (2010): 91-99.